• 북마크
  • 접속자 72
재미 인하대학교 동문회

통합게시판

[자기계발] 파킨슨 법칙

Admin
2006.07.24 20:24 754 0

본문


파킨슨 법칙(Parkinson’s law)은 영국의 역사, 정치학자인 파킨슨이 제시한 사회 생태학적 법칙이다. 그는 이 법칙에서 현재 사회의 작동원리를 신랄하게 풍자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조직에서 관리자의 수는 해야 할 업무의 양과는 관계없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이 상위 직급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부하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으므로 조직 구성원의 수는 일의 유무나 사안의 경중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증가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주어진 구실이나 업무와는 관계 없이 사람의 숫자를 늘리는 속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대기업병이나 공무원의 관료조직의 병폐가 바로 이와 같은 조직의 속성에서 기인한다.

영국 해군에 대한 파킨슨 연구를 보면,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 당시 영국 해군의 주력함은 62척이었다. 그러던 것이 전쟁이 끝난 14년 후, 군함은 3분의 1로 줄었고, 10만명이었던 해군 병사의 수도 30%로 줄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군성의 공무원 수는 3600명으로 80%가량 더 늘어났다. 이를 꼬집어서 흔히 ‘웅장한 지상해군’이라고 지칭하기도 하였다. 제 2차 세계대전 전인 1935년 8120명이었던 해군성의 인원도 1954년에는 3만 3790년으로 늘어났다. 파킨슨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공무원의 생리가 승진을 위해 부하를 늘리려 하기 때문이다. 사람이 늘어나면 일이 늘어나고, 일이 늘면 사람도 늘어나고, 조직의 규모도 늘어나며, 직급이 늘어나 승진의 기회도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 법칙을 업무에 적용하면 이렇다. 어떤 사람에게 보고서를 제출할 기간으로 1주일을 준다면 그는 그 일을 끝내는데 1주일을 다 쓴다. 만일 똑같은 일을 2주일에 끝내도록 요구하면 끝내는데 역시 2주일을 다 소모할 것이다. 업무자체가 복잡하거나 힘들지 않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직장 내에서 일어나는 불변의 법칙이다. 즉 업무는 그에 할당된 시간만큼 늘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관료조직의 비효율성과 대기업병은 조직의 속성 때문에 생긴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우리는 사람의 생리도 파악해야 한다.

조직이든 개인이든 시간이 많을수록 일을 신속하게 처리하지 않는다. 시간이 많아지면 그만큼 여유를 부릴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가한 노인이 조카딸에게 편지 한 장 써보내는 데는 하루 종일이 걸릴지 모른다. 편지지를 찾고, 안경을 찾고, 주소를 찾아 편지에 쓰고 이를 우체국에 부치기까지의 시간은 예상하기 힘들다. 여유를 부릴 수 있는 사람에게 있어 하루의 24시간은 길지 모른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은 한정된 시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분배하는가와 관련한 의사결정에 늘 직면해 있다. 조직 내에서 발생되는 긴박하고 중요한 업무가 누구의 손에 가는지 살펴보라. 어김없이 그 일은 한가하고 여유 있는 사람이 아니라 늘 업무에 시달리고 분주한 개인에게 돌아가게 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급한 일은 바쁜 사람에게 가야 정확하게 완결되기 때문이다. 늘 여유로운 사람은 여유롭고, 바쁘고 분주한 사람은 더욱 더 많은 일을 책임지게 되어 더욱 분주하게 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순환원리가 파킨슨 법칙으로 인한 과대조직을 지탱시키는 힘이기도 할 것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